로컬PC와 VIRTUAL BOX와의 네트워크를 연계한 후 SSH접속을 해보도록 하자.


기본적인 설치 과정은




첫번째로 virtualbox 의 네트워크 설정을 잡아주도록 하자


 1) 어댑터1 : NAT

 2) 어댑터2 : (네트워크 어댑터 사용하기 체크) 브리지 어댑터




어댑터 2개를 설정완료하였으면 확인을 누르고 시작버튼으로 서버 ON을 시켜보자


전원이 들어왔으면 프로그램 -> 유틸리티 -> 터미널을 접속하자


그리고나서 아이피 확인을 위하여 ifconfig 입력하면 2개의 아이피정보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아이피가 확인이 되지 않을것이다.


이더넷이 하나만 켜져있기때문에 enp0s3에만 아이피주소를 확인할수 있고

enp0s8은 존재하지 않는다. enp0s8에 대한 이더넷을 ON으로 변경하자







다시 ifconfig 명령어를 쳐보았다.




아이피가 출력이 잘되었으면 yum 명령어를 이용하여 ssh를 설치하도록 하자

(재설치해본결과 sshd가 설치가 되어있어서 별도로 yum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는거 같다)

systemctl restart sshd.service 명령어가 실행된다면 별도 설치할 필요없음.

명령어는


yum -y install openssh*






뭔가 샤샤샥하고 다운로드 받아진다 마지막으로 complete라고 나오면 ssh 설치 끝~

sshd 서비스를 재시작 해보자


service sshd restart

CentOS 7에서는 다음과 같이 해주어야 하는거 같음

systemctl restart sshd.service




재시작 완료후 로컬에서 putty로 ssh접속 시도를 해보고 파일질라로 sftp 접속을 시도해보도록 

하겠다. 접속 아이피는 enp0s8의 Idnet이다!!

putty 접속화면 






접속하였을때 login as: 라고 화면이 뜨면 정상적으로 ssh 통신이 가능하다.




패스워드 입력




정상접속시 하단처럼 콘솔창이 뜬다




자~ SSH통신이 잘 이루어 졌다. 해당 접속이 가능하다는 것은 sftp통신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PUTTY(ssh)/파일질라(sftp)를 이용해서 이후작업을 진행하도록 하겠음!!